Modified: 
tomcat/trunk/java/org/apache/catalina/valves/LocalStrings_ko.properties
URL: 
http://svn.apache.org/viewvc/tomcat/trunk/java/org/apache/catalina/valves/LocalStrings_ko.properties?rev=1850332&r1=1850331&r2=1850332&view=diff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--- tomcat/trunk/java/org/apache/catalina/valves/LocalStrings_ko.properties 
(original)
+++ tomcat/trunk/java/org/apache/catalina/valves/LocalStrings_ko.properties Fri 
Jan  4 08:58:36 2019
@@ -16,129 +16,129 @@
 accessLogValve.alreadyExists=접근 로그 파일을 [{0}]에서 [{1}](으)로 
이름을 변경하지 못했습니다. 파일이 이미 존재합니다.
 accessLogValve.closeFail=접근 로그 파일을 닫지 못했습니다.
 accessLogValve.deleteFail=이전 접근 로그 파일 [{0}]을(를) 삭ì 
œí•˜ì§€ 못했습니다.
-accessLogValve.invalidLocale=로케일을 [{0}](으)로 설정할 수 
없습니다.
+accessLogValve.invalidLocale=로케일을 [{0}](으)로 설정하지 
못했습니다.
 accessLogValve.invalidPortType=유효하지 않은 포트 타입 [{0}]. 서버 
(로컬) 포트를 사용합니다.
 accessLogValve.openDirFail=접근 로그 파일(들)을 위한 디렉토리 
[{0}]을(를) 생성하지 못했습니다.
-accessLogValve.openFail=액세스 로그 파일 [{0}]을(를) 열 수 
없습니다.
+accessLogValve.openFail=접근 로그 파일 [{0}]을(를) 열지 
못했습니다.
 accessLogValve.renameFail=접근 로그 파일을 [{0}]에서 [{1}](으)로 
이름을 변경하지 못했습니다.
 accessLogValve.rotateFail=접근 로그를 순환시키지 못했습니다.
 accessLogValve.unsupportedEncoding=인코딩을 [{0}](으)로 설정하지 
못했습니다. 시스템 기본 문자셋을 사용할 것입니다.
-accessLogValve.writeFail=다음 로그 메시지를 기록하지 
못했습니다: [{0}]
+accessLogValve.writeFail=다음 로그 메시지를 쓰지 못했습니다: 
[{0}]
 
 errorReportValve.description=설명
-errorReportValve.errorPageIOException=예외로 인하여 [{0}]에 위치한 
오류 페이지를 표시할 수 없습니다.
+errorReportValve.errorPageIOException=예외 발생으로 인하여 [{0}]에 
위치한 오류 페이지를 표시할 수 없습니다.
 errorReportValve.errorPageNotFound=[{0}]에 위치한 정적 오류 
페이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.
 errorReportValve.exception=예외
 errorReportValve.exceptionReport=예외 보고
 errorReportValve.message=메시지
 errorReportValve.noDescription=설명이 없습니다.
 errorReportValve.note=비고
-errorReportValve.rootCause=근본 원인
-errorReportValve.rootCauseInLogs=서버 로그에서, Root cause의 풀 스택 
트레이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+errorReportValve.rootCause=근본 원인 (root cause)
+errorReportValve.rootCauseInLogs=근본 원인(root cause)의 풀 스택 트ë 
ˆì´ìŠ¤ë¥¼, 서버 로그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 errorReportValve.statusHeader=HTTP 상태 {0} – {1}
 errorReportValve.statusReport=상태 보고
 errorReportValve.type=타입
 errorReportValve.unknownReason=알 수 없는 사유
 
 extendedAccessLogValve.badXParam=유효하지 않은 x 파라미터 포맷. 
포맷은 'x-#(...) 이어야 합니다.
-extendedAccessLogValve.badXParamValue=서블릿 요청을 위한 유효하지 
않은 x 파라미터 값: [{0}]
+extendedAccessLogValve.badXParamValue=서블릿 요청을 위해 유효하지 
않은 x 파라미터 값: [{0}]
 extendedAccessLogValve.decodeError=[{0}](으)로 시작하는 문자들의 
나머지 부분을 디코드할 수 없습니다.
-extendedAccessLogValve.emptyPattern=패턴이 그저 빈 문자열이었거나 
공백 문자로만 채워진 문자열입니다.
+extendedAccessLogValve.emptyPattern=패턴이 그저 빈 
문자열이었거나, 공백 문자로만 채워진 문자열이었습니다.
 extendedAccessLogValve.noClosing=디코드된 접근 로그 행에서 닫는 
중괄호, '')'', 가 없습니다.
 extendedAccessLogValve.patternParseError=패턴 [{0}]을(를) 파싱하는 중 
오류 발생
 
-http.400.desc=클라이언트 오류로서 인지된 어떤 것 때문에, 
서버는 해당 요청을 처리할 수 없거나 처리하려 하지 않을 
것입니다. (예: 잘못된 요청 문법, 유효하지 않은 요청 
메시지 framing, 또는 신뢰되지 않는 요청 라우팅).
+http.400.desc=클라이언트 오류로서 인지된 어떤 문제로 
인하여, 서버가 해당 요청을 처리할 수 없거나, 처리하지 
않을 것입니다. (예: 잘못된 요청 문법, 유효하지 않은 요청 
메시지 framing, 또는 신뢰할 수 없는 요청 라우팅).
 http.400.reason=잘못된 요청
-http.401.desc=대상 리소스에 접근하기 위한 유효한 인증 
credentials가 없으므로 해당 요청이 적용되지 않았습니다.
-http.401.reason=인가되지 않음
-http.402.desc=이 상태 코드는 미래에 사용할 것을 대비하여 
예약되어 있습니다.
-http.402.reason=Payment Required
-http.403.desc=서버가 요청을 이해하였으나 승인을 거부합니다.
+http.401.desc=대상 리소스에 접근하기 위한 유효한 인증 
credentials가 없기 때문에, 요청에 적용되지 않았습니다.
+http.401.reason=인가 안됨
+http.402.desc=이 상태 코드는 미래의 사용을 위해 예약되어 
있습니다.
+http.402.reason=지불이 요구됨
+http.403.desc=서버가 요청을 이해했으나 승인을 거부합니다.
 http.403.reason=금지됨
-http.404.desc=Origin 서버가 대상 리소스에 대한 현재의 
representation이 찾을 수 없는 상태이거나 존재하는지 여부를 
밝힐 수 없습니다.
+http.404.desc=Origin 서버가 대상 리소스를 위한 현재의 
representation을 찾지 못했거나, 그것이 존재하는지를 밝히려 
하지 않습니다.
 http.404.reason=찾을 수 없음
-http.405.desc=request-line에 포함된 해당 메소드는 origin 서버에 
의해 전달되었으나, 대상 리소스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
메소드입니다.
+http.405.desc=요청 행에 포함된 해당 메소드는, origin 서버에 
의해 인지되었으나, 대상 리소스에 의해 지원되지 않습니다.
 http.405.reason=허용되지 않는 메소드
-http.406.desc=요청으로부터 받은 사전적인 negotiation 헤더에 
의거하면, 대상 리소스는 해당 user agent가 받아들일만한 
representation이 없고, 또한 서버도 기본 representation을 제공할 
수 없습니다.
-http.406.reason=Not Acceptable
+http.406.desc=요청으로부터 받은 proactive negotiation 헤더에 
따르면, 대상 리소스는 해당 user agent가 받아들일만한 
현재의 representation이 없고, 서버 또한 기본 representation을 ì 
œê³µí•˜ì§€ 않으려 합니다.
+http.406.reason=받아들일 수 없음
 http.407.desc=이 상태 코드는 401 (인증 안됨)과 유사하나, 이는 
클라이언트가 프록시를 사용하기 위하여 스스로를 인증할 
필요가 있음을 알려줍니다.
-http.407.reason=프록시 인증이 필요
-http.408.desc=서버가, 대기하도록 예비되었던 시간 내에, 완ì 
„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했습니다.
+http.407.reason=프록시 인증이 요구됨
+http.408.desc=대기하도록 준비된 시간 이내에, 서버가 완전한 
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했습니다.
 http.408.reason=요청 제한 시간 초과
-http.409.desc=대상 리소스의 현재 상태와 충돌하기 때문에 
해당 요청은 완료될 수 없었습니다.
-http.409.reason=Conflict
-http.410.desc=타겟 리소스에 대한 접근이 해당 origin 서버에서 
더이상 가용하지 않으며 이러한 조건은 아마도 영구적일 
것으로 보입니다.
-http.410.reason=Gone
-http.411.desc=서버가 Content-Length가 없는 요청을 받아들이기를 
거부했습니다.
-http.411.reason=Length Required
-http.412.desc=해당 서버에서 검사될 때에 요청 헤더 필드들 
내에 주어진 하나 이상의 조건(들)이 false로 평가되었습니다.
+http.409.desc=대상 리소스의 현재 상태와의 충돌 때문에, 
요청이 완료될 수 없었습니다.
+http.409.reason=충돌됨
+http.410.desc=대상 리소스에 대한 접근이 해당 origin 서버에서 
더이상 가용하지 않으며, 이러한 조건은 아마도 영구적일 
것으로 보입니다.
+http.410.reason=사라졌음
+http.411.desc=Content-Length가 정의되지 않은 요청을, 서버가 
받아들이기를 거부했습니다.
+http.411.reason=Length가 요구됨
+http.412.desc=서버에서 검사될 때, 요청 헤더 필드들 내에 
주어진 하나 이상의 조건(들)이, false로 평가되었습니다.
 http.412.reason=사전 조건 충족 실패
-http.413.desc=요청의 payload가 처리할 수 있는 크기 보다 크기 
때문에, 서버가 요청 처리를 거부합니다.
+http.413.desc=요청의 payload가 서버가 처리하려 하거나 처리할 
수 있는 것 보다 크기 때문에, 서버가 요청 처리를 
거부합니다.
 http.413.reason=Payload가 너무 큽니다.
-http.414.desc=서버가 처리할 수 있는 것보다 request-target이 더 
길기 때문에 요청에 대한 서비스를 거부합니다.
+http.414.desc=서버가 처리할 수 있는 것보다 request-target이 더 
길기 때문에, 요청에 대한 서비스를 거부합니다.
 http.414.reason=URI가 너무 깁니다.
-http.415.desc=해당 payload가 대상 리소스에 대한 이 메소드에 
의해서 지원되지 않는 포맷이기 때문에, Origin 서버는 요청 
처리를 거부합니다.
-http.415.reason=지원되지 않는 Media Type.
-http.416.desc=해당 요청의 Range 헤더 필드 내의 range들 중 어느 
것도 선택된 리소스의 현재 범위와 겹치지 않거나, 요청된 
range들의 집합이 유효하지 않은 range들 또는 과도하게 
작거나 겹치는 range들이기 때문에 거절되었을 수 있습니다.
+http.415.desc=Payload가 대상 리소스에 대한 이 메소드에 의해 
지원되지 않는 포맷이기 때문에, Origin 서버가 요청을 
서비스하기를 거부합니다.
+http.415.reason=지원되지 않는 Media Type
+http.416.desc=요청의 Range 헤더 필드 내의 범위들 중 어느 
것도, 선택된 리소스의 현재 범위와 겹치지 않거나, 요청된 
범위들의 집합이 유효하지 않은 범위들, 또는 과도하게 
작거나 겹치는 범위들이기 때문에 거절되었습니다.
 http.416.reason=충족될 수 없는 범위
-http.417.desc=해당 요청의 Expect 헤더 필드에 주어진 
expectation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inbound 서버들에 의해 충족될 
수 없습니다.
+http.417.desc=요청의 Expect 헤더 필드에 주어진 expectation이, ì 
ì–´ë„ 하나 이상의 inbound 서버들에 의해 충족될 수 
없었습니다.
 http.417.reason=Expectation Failed
 http.421.desc=요청이 응답을 생성할 수 없는 서버로 ì 
„달되었습니다.
-http.421.reason=잘못 지시된 요청
-http.422.desc=서버가 요청 엔티티의 Content-Type을 이해하고 
요청 엔티티의 문법이 올바르지만, 포함된 instruction들을 
처리할 수 없었습니다.
+http.421.reason=잘못 안내된 요청
+http.422.desc=서버가 요청 엔티티의 Content-Type을 이해하고, 
요청 엔티티의 문법이 올바르게 되어 있지만, 포함된 
instruction들을 처리할 수 없었습니다.
 http.422.reason=처리할 수 없는 엔티티
-http.423.desc=The source or destination resource of a method is locked.
+http.423.desc=메소드의 원본 또는 대상 리소스가 잠금 상태입
니다.
 http.423.reason=잠겨짐
-http.424.desc=요청된 액션은 이미 실패한 또 다른 액션에 
의존적이었기 때문에, 해당 리소스에 대해 이 메소드를 
수행할 수 없습니다.
-http.424.reason=Failed Dependency
-http.426.desc=서버가 현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요청을 
처리하기를 거부했습니다만, 클라이언트가 다른 프로토
콜로 업그레이드한 후에 처리하려 할 수도 있습니다.
-http.426.reason=Upgrade 필요
-http.428.desc=Origin 서버는 요청이 사전 조건적 (예: If-Match와 
같은 헤더) 이기를 요구합니다.
+http.424.desc=요청된 액션이 이미 실패한 또 다른 액션에 
의존하고 있었기 때문에, 해당 리소스에 대해 이 메소드를 
수행할 수 없습니다.
+http.424.reason=실패한 의존적 요청
+http.426.desc=서버가 현재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요청을 
처리하기를 거부했지만, 클라이언트가 다른 프로토콜로 업
그레이드한 후에 처리하려 할 수도 있습니다.
+http.426.reason=업그레이드가 요구됨
+http.428.desc=Origin 서버는 요청이 사전 조건적이기를 
요구합니다 (예: If-Match와 같은 헤더).
 http.428.reason=사전조건이 필수적입니다.
-http.429.desc=해당 사용자는 주어진 시간 동안 너무 많은 
요청을 보냈습니다. ("rate limiting")
+http.429.desc=사용자가 주어진 시간 동안 너무 많은 요청을 
보냈습니다. ("rate limiting")
 http.429.reason=너무 많은 요청들
-http.431.desc=요청 내의 헤더 필드가 너무 커서 서버가 
처리하지 않을 것입니다.
+http.431.desc=요청 내의 헤더 필드들이 너무 커서 서버가 
처리하려 하지 않습니다.
 http.431.reason=요청의 헤더 필드들이 너무 큼
-http.451.desc=서버가 법적인 이유 때문에 이 요청을 
거부했습니다.
-http.451.reason=법적인 사유로 가용하지 않습니다.
-http.500.desc=서버가 해당 요청을 충족시키지 못하게 하는 
예기치 않은 조건을 맞닥뜨렸습니다.
+http.451.desc=서버가 법적인 사유들로 이 요청을 
거부했습니다.
+http.451.reason=법적인 사유들로 인하여 가용하지 않음
+http.500.desc=서버가, 해당 요청을 충족시키지 못하게 하는 
예기치 않은 조건을 맞닥뜨렸습니다.
 http.500.reason=내부 서버 오류
-http.501.desc=서버가 이 요청을 충족시키는데 필수적인 
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.
+http.501.desc=서버가 이 요청을 충족시키는데 필요한 필수ì 
ì¸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.
 http.501.reason=구현되지 않음
 http.502.desc=서버가 게이트웨이 또는 프록시로서 동작하면서 
요청을 처리하려 시도하는 동안, inbound 서버로부터 유
효하지 않은 응답을 받았습니다.
 http.502.reason=잘못된 게이트웨이
-http.503.desc=일시적인 서버 부하 또는 예정된 유지보수 작업 
때문에 해당 요청을 현재 처리할 수 없습니다. 이는 잠시 
지연된 뒤에 상황이 나아질 것입니다.
+http.503.desc=일시적인 서버 부하 또는 예정된 유지보수 작업
으로 인하여, 서버가 현재 요청을 처리할 수 없습니다. 잠시 
지연된 뒤에 상황이 나아질 것으로 보입니다.
 http.503.reason=서비스가 가용하지 않음
-http.504.desc=서버가, 게이트웨이 또는 프록시로 동작하는 
동안, 요청을 처리 완료하기 위해 필요한 응답을 상위 
서버로부터 적절한 시간 내에 받지 못했습니다.
+http.504.desc=서버가 게이트웨이 또는 프록시로 동작하는 
동안, 요청을 처리 완료하기 위해 접근해야 하는 상위 
서버로부터, 필요한 응답을 적절한 시간 내에 받지 
못했습니다.
 http.504.reason=게이트웨이 제한 시간 초과
-http.505.desc=요청 메시지에서 사용된 HTTP의 major 버전에 
대하여, 서버가 지원하지 않거나 또는 지원하기를 
거부했습니다.
-http.505.reason=HTTP Version은 지원되지 않음
-http.506.desc=서버에 내부 설정 오류가 있습니다: 선택된 
변형(variant) 리소스는 투명한 컨텐트 교섭(negotiation) 그 
자체에 관여하도록 설정되었으며, 하여 해당 교섭 
프로세스에서 적절한 엔드포인트가 아닙니다.
+http.505.desc=서버가 요청 메시지에서 사용된 HTTP의 major 버ì 
„을 지원하지 않거나, 또는 지원하기를 거부합니다.
+http.505.reason=HTTP 버전이 지원되지 않음
+http.506.desc=서버에 내부 설정 오류가 있습니다: 선택된 
변형(variant) 리소스가, 투명한 컨텐트 교섭(negotiation) 그 
자체에 관여하도록 설정되어 있는데, 그로 인하여 교섭 
프로세스에 적절한 엔드포인트가 아닙니다.
 http.506.reason=Variant Also Negotiates
-http.507.desc=서버가 요청 처리를 성공적으로 완료하기 위해 
필요한 representation을 저장할 수 없기에, 해당 메소드는 해당 
리소스에 대해 처리를 수행하지 못했습니다.
-http.507.reason=저장 공간이 충분치 않음
-http.508.desc=서버가 "Depth: infinity"를 가진 요청을 처리하는 
도중 무한 루프를 맞닥뜨리는 바람에 오퍼레이션을 종
료했습니다.
-http.508.reason=Loop Detected
-http.510.desc=해당 리소스에 접근하기 위한 policy가 요청에서 
충족되지 않습니다.
-http.510.reason=Not Extended
+http.507.desc=서버가 요청 처리를 성공적으로 완료하기 위해 
필요한 representation을 저장할 수 없기 때문에, 해당 메소드가 
해당 리소스에 대해 처리될 수 없었습니다.
+http.507.reason=충분하지 않은 저장 공간
+http.508.desc=서버가 "Depth: infinity"를 가진 요청을 처리하는 
도중, 무한 루프를 맞닥뜨리는 바람에 오퍼레이션을 종
료시켰습니다.
+http.508.reason=루프가 탐지됨
+http.510.desc=요청이, 리소스에 접근하기 위한 policy를 
충족시키지 않습니다.
+http.510.reason=확장 안됨
 http.511.desc=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
인증을 해야 합니다.
 http.511.reason=네트워크 인증이 필요함
 
 jdbcAccessLogValve.close=데이터베이스를 닫지 못했습니다.
-jdbcAccessLogValve.exception=접근 엔트리를 추가하는 동안 예외 
발생
+jdbcAccessLogValve.exception=접근 엔트리를 추가하는 중 예외 발생
 
-remoteCidrValve.invalid=[{0}]을(를) 위한 유효하지 않은 설정. 
상세 정보는 이전 메시지들을 확인하십시오.
+remoteCidrValve.invalid=[{0}]을(를) 위해 유효하지 않은 설정이 ì 
œê³µë˜ì—ˆìŠµë‹ˆë‹¤. 상세 정보를 보시려면 이전 메시지들을 
확인하십시오.
 remoteCidrValve.noRemoteIp=클라이언트가 IP 주소를 가지고 있지 
않습니다. 요청은 거절되었습니다.
 
 remoteIpValve.invalidPortHeader=HTTP 헤더 [{1}] 내에 유효하지 않은 
포트 번호 값입니다: [{0}]
 
-requestFilterValve.configInvalid=해당 Remote[Addr|Host]Valve를 위해 
하나 이상의 유효하지 않은 설정이 제공되었습니다. 이는 
해당 Valve와 부모 컨테이너들이 시작되지 못하게 했습니다.
-requestFilterValve.deny=프로퍼티 [{1}]에 기반하여 [{0}]에 대한 
요청을 거절합니다.
+requestFilterValve.configInvalid=Remote[Addr|Host]Valve를 위해 하나 
이상의 유효하지 않은 설정이 제공되었는데, 이는 해당 
Valve와 부모 컨테이너들이 시작되지 못하게 했습니다.
+requestFilterValve.deny=프로퍼티 [{1}]에 기반하여, [{0}]을(를) 
위한 요청을 거절합니다.
 
-sslValve.certError=java.security.cert.X509Certificate 객체를 생성하기 
위하여 인증서 문자열 [{0}]을(를) 처리하지 못했습니다.
-sslValve.invalidProvider=[{0}]의 이 요청과 연관된 연결에 설정된, 
SSL provider는 유효하지 않습니다. 인증서 데이터는 처리될 수 
없습니다.
+sslValve.certError=java.security.cert.X509Certificate 객체를 생성하기 
위한 인증서 문자열 [{0}]을(를) 처리하지 못했습니다.
+sslValve.invalidProvider=[{0}]의 이 요청과 연관된 Connector에 지ì 
•된 SSL provider는 유효하지 않습니다. 해당 인증서 데이터가 
처리될 수 없었습니다.
 
-stuckThreadDetectionValve.notifyStuckThreadCompleted=쓰레드 [{0}] 
(ID=[{3}])이(가) 이전에 stuck 상태로 보고된 바 있으나 이제 
완료되었습니다. 해당 쓰레드는 대략 [{1}] 밀리초 동안 
활성화되어 있었습니다. {2,choice,0#|0< 이 Valve에 의해 
모니터링되는 쓰레드들 중 stuck 상태로 있는 쓰레드가 여ì 
„히 [{2}] 개가 있습니다.}
-stuckThreadDetectionValve.notifyStuckThreadDetected=쓰레드 [{0}] 
(id=[{6}])이(가) [{4}]을(를) 위한 동일한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
[{1}] 밀리초 동안 활성화되어 있었으며 ([{2}] 이후) 해당 쓰ë 
ˆë“œê°€ stuck된 상태에 있을 수 있습니다.\n\
+stuckThreadDetectionValve.notifyStuckThreadCompleted=쓰레드 [{0}] 
(ID=[{3}])이(가) 이전에 stuck 상태로 보고된 바 있으나 이제 
완료되었습니다. 해당 쓰레드는 대략 [{1}] 밀리초 동안 
활성화되어 있었습니다. {2,choice,0#|0< 이 Valve에 의해 
모니터링되는 쓰레드들이 여전히 [{2}]개가 있고, 그것들은 
어쩌면 stuck 상태에 있을 수 있습니다.}
+stuckThreadDetectionValve.notifyStuckThreadDetected=쓰레드 [{0}] 
(id=[{6}])이(가), [{4}]을(를) 위한 동일한 요청을 처리하기 
위해, ([{2}] 이후) [{1}] 밀리초 동안 활성화되어 있었으며, 
해당 쓰레드가 stuck된 상태에 있을 수 있습니다.\n\
 (이 StuckThreadDetectionValve를 위한 stuck 상태 진입 기준점은 
[{5}] 초입니다.) 이 Valve에 의해 모니터되는 전체 쓰레드들 
중 [{3}] 개의 쓰레드가 stuck 상태일 수 있습니다.
-stuckThreadDetectionValve.notifyStuckThreadInterrupted=[{2}] 이후로 [{1}] 
밀리초 동안 동일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[{3}] 동안 
활성화되어 있었으나 필시 stuck 상태에 있을 법한 쓰레드 
[{0}] (id=[{5}])을(를) 중단시켰습니다. (이 
StuckThreadDetectionValve를 위한 중단 한계치는 [{4}](으)로 설ì 
•되어 있습니다.)
+stuckThreadDetectionValve.notifyStuckThreadInterrupted=쓰레드 
[{0}](id=[{5}])이(가), [{1}] 밀리초 동안 동일 요청을 처리하기 
위해 ([{2}] 이후로) [{3}] 동안 활성화되어 있었으나, 필시 
stuck 상태에 있을 법한 쓰레드이기 때문에 중단되었습니다. 
(이 StuckThreadDetectionValve를 위한 중단 한계치는 [{4}] 초로 설ì 
•되어 있습니다.)

Modified: 
tomcat/trunk/java/org/apache/catalina/webresources/LocalStrings_ko.properties
URL: 
http://svn.apache.org/viewvc/tomcat/trunk/java/org/apache/catalina/webresources/LocalStrings_ko.properties?rev=1850332&r1=1850331&r2=1850332&view=diff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--- 
tomcat/trunk/java/org/apache/catalina/webresources/LocalStrings_ko.properties 
(original)
+++ 
tomcat/trunk/java/org/apache/catalina/webresources/LocalStrings_ko.properties 
Fri Jan  4 08:58:36 2019
@@ -13,47 +13,47 @@
 # See the License for the specific language governing permissions and
 # limitations under the License.
 
-abstractArchiveResourceSet.setReadOnlyFalse=JAR 파일들에 기반한 
것들과 같은 아카이브 기반 WebResourceSets은 읽기 전용으로 
하드코드되어 있으며 읽기 및 쓰기 용으로 설정될 수 
없습니다.
+abstractArchiveResourceSet.setReadOnlyFalse=JAR 파일들에 기반한 
것들과 같은 아카이브 기반 WebResourceSet들은, 읽기 전용으로 
하드코드되어 있으며, 읽기 및 쓰기 용으로 설정될 수 
없습니다.
 
-abstractResource.getContentFail=바이트 배열로서 [{0}]을(를) 반환할 
수 없습니다.
-abstractResource.getContentTooLarge=해당 리소스의 크기가 [{1}] 
바이트로서 이는 바이트 배열 최대 크기보다 크기 때문에, 
[{0}]을(를) 바이트 배열로 반환할 수 없습니다.
+abstractResource.getContentFail=[{0}]을(를) 바이트 배열로 반환할 
수 없습니다.
+abstractResource.getContentTooLarge=리소스의 크기가 [{1}] 
바이트로서, 이는 바이트 배열 최대 크기보다 크기 때문에, 
[{0}]을(를) 바이트 배열로서 반환할 수 없습니다.
 
 abstractResourceSet.checkPath=요청된 경로 [{0}]은(는) 유효하지 
않습니다. 반드시 "/"로 시작해야 합니다.
 
-cache.addFail=[{0}]에 위치한 리소스를 웹 애플리케이션 
[{1}]을(를) 위한 캐시에 추가할 수 없습니다. 왜냐하면 
만료된 캐시 엔트리들을 없애버린 이후에도 공간이 
충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. 캐시의 최대 크기를 증가시키는 
것을 고려해 보십시오.
-cache.backgroundEvictFail=백그라운드 캐시 퇴거 프로세스가 컨í…
ìŠ¤íŠ¸ [{1}]을 위한 캐시의 [{0}] 퍼센트를 참조 해제시킬 수 
없었습니다. 캐시의 최대 크기를 증가시킬 것을 고려해 
보십시오. 퇴거 작업 후 대략 [{2}] KB의 데이터가 캐시에 
남아 있습니다.
-cache.objectMaxSizeTooBig=objectMaxSize를 위한 값 [{0}]kB는 maxSize/20인 
한계값 보다 커서 [{1}]kB로 줄였습니다.
-cache.objectMaxSizeTooBigBytes=[{0}]kB를 캐시하기 위한 최대 객체 
크기로 설정된 값은 Integer.MAX_VALUE 바이트보다 큰데, 
Integer.MAX_VALUE는 캐시될 수 있는 최대 크기입니다. 해당 한계 
값은 Integer.MAX_VALUE 바이트로 설정될 것입니다.
+cache.addFail=[{0}]에 위치한 리소스를 웹 애플리케이션 
[{1}]을(를) 위한 캐시에 추가할 수 없습니다. 왜냐하면 
만료된 캐시 엔트리들을 없애버린 이후에도 여유 공간이 
충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. 캐시의 최대 크기를 증가시키는 
것을 고려해 보십시오.
+cache.backgroundEvictFail=백그라운드 캐시 퇴거 (cache eviction) 
프로세스가, 컨텍스트 [{1}]을(를) 위한 캐시의 [{0}] 퍼센트를 
해제시킬 수 없었습니다. 캐시의 최대 크기를 증가시킬 
것을 고려해 보십시오. 캐시 퇴거 작업 이후, 대략 [{2}] KB의 
데이터가 캐시에 남아 있습니다.
+cache.objectMaxSizeTooBig=objectMaxSize를 위한 값 [{0}]kB이, 
maxSize/20인 최대한계값 보다 커서, [{1}]kB로 줄여졌습니다.
+cache.objectMaxSizeTooBigBytes=[{0}]kB를 캐시하기 위해, 최대 객체 
크기로서 지정된 값이 Integer.MAX_VALUE 바이트보다 큰데, 
Integer.MAX_VALUE는 캐시될 수 있는 최대 크기입니다. 한계 값을 
Integer.MAX_VALUE 바이트로 설정하겠습니다.
 
-classpathUrlStreamHandler.notFound=쓰레드 컨텍스트 클래스로더 
또는 현재 클래스의 클래스로더를 사용하여 리소스 
[{0}]을(를) 로드할 수 없습니다.
+classpathUrlStreamHandler.notFound=쓰레드 컨텍스트 클래스로더 
또는 현재 클래스의 클래스로더를 사용하여, 리소스 
[{0}]을(를) 로드할 수 없습니다.
 
 dirResourceSet.manifestFail=[{0}](으)로부터 manifest를 읽지 
못했습니다.
-dirResourceSet.notDirectory=base 와 internal path [{0}]{1}[{2}]에 의해 
지정된 디렉토리 경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.
-dirResourceSet.writeNpe=입력 스트림이 널이어서는 안됩니다.
+dirResourceSet.notDirectory=base와 internal path [{0}]{1}[{2}](으)로 지ì 
•된 디렉토리가 존재하지 않습니다.
+dirResourceSet.writeNpe=입력 스트림이 널일 수는 없습니다.
 
 extractingRoot.jarFailed=JAR 파일 [{0}]을(를) 추출하지 못했습니다.
-extractingRoot.targetFailed=JAR 파일의 압축을 풀기 위하여 디렉토
리 [{0}]을(를) 생성할 수 없습니다.
+extractingRoot.targetFailed=JAR 파일들의 압축을 풀기 위한 디렉토
리 [{0}]을(를) 생성할 수 없습니다.
 
 fileResource.getCanonicalPathFail=리소스 [{0}]에 대한 canonical 
경로를 결정할 수 없습니다.
 fileResource.getCreationFail=리소스 [{0}]의 생성 시간을 결정할 수 
없습니다.
-fileResource.getUrlFail=[{0}]을(를) 위한 URL을 결정할 수 없습니다.
+fileResource.getUrlFail=리소스 [{0}]을(를) 위한 URL을 결정할 수 
없습니다.
 
-fileResourceSet.notFile=base와 internal path [{0}]{1}[{2}]에 의해 지ì 
•된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.
+fileResourceSet.notFile=base와 내부 경로 [{0}]{1}[{2}]에 의해 지ì 
•된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.
 
-jarResource.getInputStreamFail=JAR [{1}] 내에 위치한 리소스 
[{0}]을(를) 위한 InputStream을 획득할 수 없습니다.
-jarResource.getUrlFail=해당 JAR [{1}] 내에 위치한 리소스 
[{0}]을(를) 위한 URL을 결정할 수 없습니다.
+jarResource.getInputStreamFail=JAR [{1}] 내의 리소스 [{0}]을(를) 위한 
InputStream을 얻을 수 없습니다.
+jarResource.getUrlFail=JAR [{1}] 내에 위치한 리소스 [{0}]을(를) 
위한 URL을 결정할 수 없습니다.
 
-jarResourceRoot.invalidWebAppPath=이 리소스는 언제나 디렉토리를 
가리켜서 webAppPath가 반드시 ''/'' 로 끝나야 합니다만 제공된 
webAppPath는 [{0}]였습니다.
+jarResourceRoot.invalidWebAppPath=이 리소스는 언제나 디렉토리를 
가리켜서, 제공된 webAppPath가 반드시 ''/'' 로 끝나야 하지만, 
제공된 webAppPath는 [{0}]이었습니다.
 
 jarWarResourceSet.codingError=코딩 오류
 
-standardRoot.checkStateNotStarted=리소스들이 시작된 상태가 
아니라면 해당 리소스들은 접근될 수 없습니다.
+standardRoot.checkStateNotStarted=현재 시작되어 있는 상태가 
아니라면, 리소스들은 접근될 수 없습니다.
 standardRoot.createInvalidFile=[{0}](으)로부터 WebResourceSet을 생성할 
수 없습니다.
 standardRoot.createNoFileResourceSet=FileResourceSet 기능들이 아직 
구현되지 않았습니다.
-standardRoot.createUnknownType=알 수 없는 타입 [{0}]인 
WebResourceSet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.
+standardRoot.createUnknownType=알 수 없는 타입 [{0}]의 
WebResourceSet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.
 standardRoot.invalidPath=리소스 경로 [{0}]은(는) 유효하지 
않습니다.
-standardRoot.invalidPathNormal=해당 리소스 경로 [{0}]이(가) 
[{1}](으)로 정규화되어 있는데, 이는 유효하지 않습니다.
-standardRoot.lockedFile=웹 애플리케이션 [{0}]이(가) 파일 
[{1}]을(를) 닫지 못했습니다. 해당 파일은 다음과 같은 스택 
트레이스 내에서 열렸습니다.
+standardRoot.invalidPathNormal=리소스 경로 [{0}]이(가) [{1}](으)로 ì 
•규화되어 있는데, 이는 유효하지 않습니다.
+standardRoot.lockedFile=웹 애플리케이션 [{0}]이(가) 파일 
[{1}]을(를) 닫지 못했습니다. 해당 파일은 다음과 같은 스택 
트레이스 내에서 열렸었습니다.
 standardRoot.noContext=컨텍스트가 이 WebResourceRoot를 위해 설ì 
•되지 않았습니다.
-standardRoot.startInvalidMain=[{0}](으)로 지정된 주요 리소스셋은 
유효하지 않습니다.
-standardRoot.unsupportedProtocol=해당 URL 프로토콜 [{0}]은(는) 이 웹 
리소스 구현에 의해 지원되지 않습니다.
+standardRoot.startInvalidMain=지정된 주요 리소스셋 [{0}]은(는) 유
효하지 않습니다.
+standardRoot.unsupportedProtocol=URL 프로토콜 [{0}]은(는), 이 웹 
리소스 구현에 의해 지원되지 않습니다.

Modified: tomcat/trunk/java/org/apache/coyote/LocalStrings_ko.properties
URL: 
http://svn.apache.org/viewvc/tomcat/trunk/java/org/apache/coyote/LocalStrings_ko.properties?rev=1850332&r1=1850331&r2=1850332&view=diff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--- tomcat/trunk/java/org/apache/coyote/LocalStrings_ko.properties (original)
+++ tomcat/trunk/java/org/apache/coyote/LocalStrings_ko.properties Fri Jan  4 
08:58:36 2019
@@ -14,45 +14,45 @@
 # limitations under the License.
 
 abstractConnectionHandler.connectionsGet=소켓 [{1}]을(를) 위한 
프로세서 [{0}]을(를) 발견했습니다.
-abstractConnectionHandler.error=요청을 읽다가 오류 발생. 
무시합니다.
+abstractConnectionHandler.error=요청을 읽는 중 오류 발생. 
무시합니다.
 abstractConnectionHandler.ioexception.debug=IOException들은 정상ì 
ì´ë¯€ë¡œ, 무시합니다.
 abstractConnectionHandler.negotiatedProcessor.fail=Negotiate된 프로토콜 
[{0}]을(를) 위한 프로세서를 생성하지 못했습니다.
 abstractConnectionHandler.process=상태가 [{1}]인 소켓 [{0}]을(를) 
처리합니다.
-abstractConnectionHandler.processorPop=캐시로부터 프로세서 
[{0}]을(를) 추출함.
-abstractConnectionHandler.protocolexception.debug=ProtocolException들은 ì 
•상적입니다. 무시합니다.
-abstractConnectionHandler.socketexception.debug=SocketException들은 정상ì 
ì¸ 상태이므로 무시합니다.
+abstractConnectionHandler.processorPop=캐시로부터 프로세서 
[{0}]을(를) 추출했습니다.
+abstractConnectionHandler.protocolexception.debug=ProtocolException들은 ì 
•상적이므로, 무시합니다.
+abstractConnectionHandler.socketexception.debug=SocketException들은 정상ì 
ì¸ 상태이므로 무시되었습니다.
 abstractConnectionHandler.upgradeCreate=소켓 wrapper [{1}]을(를) 위한 업
그레이드 프로세서 [{0}]을(를) 생성했습니다.
 
 abstractProcessor.fallToDebug=\n\
-더 이상의 요청에 대한 파싱 오류들은 DEBUG 레벨 로그로 
기록될 것입니다.
+비고: 요청에 대한 파싱 오류들이 더 발생하는 경우 DEBUG ë 
ˆë²¨ 로그로 기록될 것입니다.
 abstractProcessor.hostInvalid=호스트 [{0}]은(는) 유효하지 
않습니다.
 abstractProcessor.httpupgrade.notsupported=HTTP 업그레이드는 이 
프로토콜에 의해 지원되지 않습니다.
-abstractProcessor.noExecute=이 Processor가 현재 SocketWrapper와 
연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처리 작업을 컨테이너 쓰레드가 
이관시킬 수 없습니다.
-abstractProcessor.nonContainerThreadError=컨테이너 쓰레드가 아닌 
쓰레드에서 처리 도중 오류가 발생했습니다. 연결은 즉시 
닫힐 것입니다.
+abstractProcessor.noExecute=이 프로세서가 현재 SocketWrapper와 
연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, 처리 작업을 컨테이너 쓰ë 
ˆë“œë¡œ 이관할 수 없습니다.
+abstractProcessor.nonContainerThreadError=컨테이너 쓰레드가 아닌 
쓰레드에서, 처리 도중 오류가 발생했습니다. 연결을 즉시 
닫을 것입니다.
 abstractProcessor.pushrequest.notsupported=이 프로토콜은 서버 push 
요청들을 지원하지 않습니다.
 abstractProcessor.socket.ssl=SSL 속성들을 얻으려는 중 예외 발생
 
-abstractProtocol.mbeanDeregistrationFailed=MBean 서버 [{1}](으)로부터 
[{0}](이)라는 이름을 가진 MBean의 등록을 제거하지 
못했습니다.
+abstractProtocol.mbeanDeregistrationFailed=MBean 서버 [{1}](으)로부터, 
[{0}](이)라는 이름의 MBean의 등록을 제거하지 못했습니다.
 
 abstractProtocolHandler.asyncTimeoutError=비동기 제한 시간 초과를 
처리하는 동안 오류 발생
-abstractProtocolHandler.destroy=ProtocolHandler [{0}]을(를) 
소멸시킵니다.
-abstractProtocolHandler.init=ProtocolHandler [{0}]을(를) 초기화합니다.
-abstractProtocolHandler.pause=ProtocolHandler [{0}]을(를) 일시 정지 중
-abstractProtocolHandler.portOffset=ProtocolHandler [{0}]이(가) base port가 
[{1}](으)로 port offset이 [{2}](으)로 설정됩니다.
-abstractProtocolHandler.resume=프로토콜 핸들러 [{0}]을 재개합니다.
+abstractProtocolHandler.destroy=프로토콜 핸들러 [{0}]을(를) 
소멸시킵니다.
+abstractProtocolHandler.init=프로토콜 핸들러 [{0}]을(를) 
초기화합니다.
+abstractProtocolHandler.pause=프로토콜 핸들러 [{0}]을(를) 일시 ì 
•ì§€ 중
+abstractProtocolHandler.portOffset=프로토콜 핸들러 [{0}]이(가), base 
port [{1}], 그리고 port offset [{2}](으)로 설정됩니다.
+abstractProtocolHandler.resume=프로토콜 핸들러 [{0}]을(를) 
재개합니다.
 abstractProtocolHandler.setAttribute=속성 [{0}]에 값 [{1}]을(를) 설정
 abstractProtocolHandler.start=프로토콜 핸들러 [{0}]을(를) 
시작합니다.
-abstractProtocolHandler.stop=ProtocolHandler [{0}]을(를) 중지시킵니다.
+abstractProtocolHandler.stop=프로토콜 핸들러 [{0}]을(를) 
중지시킵니다.
 
-asyncStateMachine.invalidAsyncState=Async 상태가 [{1}]인 요청에 
대하여 [{0}]을(를) 호출하는 것은 유효하지 않습니다.
+asyncStateMachine.invalidAsyncState=비동기 상태가 [{1}]인 요청에 
대하여, [{0}]을(를) 호출하는 것은 유효하지 않습니다.
 
-request.notAsync=Non-blocking IO로 전환하려는 것은 오직 비동기 
처리 또는 HTTP 업그레이드 처리 시에만 유효합니다.
+request.notAsync=오직 비동기 처리 또는 HTTP 업그레이드 처리 
시에만, Non-blocking IO로의 전환이 유효합니다.
 request.nullReadListener=setReadListener()에 전달된 리스너는 널일 
수 없습니다.
 request.readListenerSet=Non-blocking 읽기 리스너가 이미 설정되어 
있습니다.
 
 response.encoding.invalid=인코딩 [{0}]은(는) JRE에 의해 인식되지 
않습니다.
-response.noTrailers.notSupported=Trailer fields supplier가 이 응답을 
위해 설정될 수 없습니다. 기반 프로토콜이 trailer field들을 
지원하지 않거나, 또는 해당 프로토콜이 해당 응답이 
커밋되기 전에 Trailer fields supplier가 설정되기를 요구합니다.
-response.notAsync=Non-blocking IO로 전환하려는 것은 오직 비동기 
처리 또는 HTTP 업그레이드 처리 시에만 유효합니다.
-response.notNonBlocking=응답이 non-blocking 모드에 진입하지 
않았을 때에 isReady()를 호출하는 것은 유효하지 않습니다.
+response.noTrailers.notSupported=이 응답을 위해, Trailer fields 
supplier가 설정될 수 없습니다. 기반 프로토콜이 trailer 
field들을 지원하지 않거나, 또는 프로토콜이 해당 응답이 
커밋되기 전에 Trailer fields supplier가 설정되기를 요구합니다.
+response.notAsync=오직 비동기 처리 중 또는 HTTP 업그레이드 
처리 중일 때에만, non-blocking IO로 전환하려는 것이 유
효합니다.
+response.notNonBlocking=응답이 non-blocking 모드 내에 있지 않을 
때, isReady()를 호출하는 것은 유효하지 않습니다.
 response.nullWriteListener=setWriteListener()에 전달되는 리스너가 
널이이서는 안됩니다.
-response.writeListenerSet=Non-blocking writer listener가 이미 설ì 
•되었습니다.
+response.writeListenerSet=Non-blocking 쓰기 리스너가 이미 설ì 
•되었습니다.

Modified: tomcat/trunk/java/org/apache/coyote/ajp/LocalStrings_ko.properties
URL: 
http://svn.apache.org/viewvc/tomcat/trunk/java/org/apache/coyote/ajp/LocalStrings_ko.properties?rev=1850332&r1=1850331&r2=1850332&view=diff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--- tomcat/trunk/java/org/apache/coyote/ajp/LocalStrings_ko.properties 
(original)
+++ tomcat/trunk/java/org/apache/coyote/ajp/LocalStrings_ko.properties Fri Jan  
4 08:58:36 2019
@@ -15,20 +15,20 @@
 
 ajpMessage.invalidPos=위치 [{0}](으)로부터 바이트들을 읽기를 
요청 받았는데, 이는 해당 AJP 메시지의 끝 위치를 
넘어섰습니다.
 
-ajpmessage.invalid=서명이 [{0}]인 유효하지 않은 메시지를 
받았습니다.
+ajpmessage.invalid=서명 [{0}]와(과) 함께, 유효하지 않은 
메시지를 받았습니다.
 ajpmessage.invalidLength=길이가 [{0}]인 유효하지 않은 메시지를 
받았습니다.
 ajpmessage.null=널 값을 추가할 수 없습니다.
-ajpmessage.overflow=버퍼에 [{0}] 바이트들을 [{1}] 위치에 
추가하는 동안 오버플로우 오류 발생
+ajpmessage.overflow=버퍼에 [{0}] 바이트들을 위치 [{1}]에 
추가하는 동안 오버플로우 오류 발생
 
-ajpprocessor.certs.fail=인증서를 전환시키지 못했습니다.
+ajpprocessor.certs.fail=인증서를 변환시키지 못했습니다.
 ajpprocessor.failedread=소켓 읽기가 실패했습니다.
 ajpprocessor.failedsend=AJP 메시지를 전송하지 못했습니다.
-ajpprocessor.header.error=헤더 메시지 파싱이 실패했습니다.
-ajpprocessor.header.tooLong=길이가 [{0}]인 헤더 메시지를 
받았지만 패킷 크기는 단지 [{1}]입니다.
+ajpprocessor.header.error=헤더 메시지를 파싱하지 못했습니다.
+ajpprocessor.header.tooLong=길이가 [{0}]인 헤더 메시지를 
받았지만, 패킷 크기는 단지 [{1}]입니다.
 ajpprocessor.readtimeout=소켓으로부터 데이터를 읽으려는 
시도가 제한 시간 초과되었습니다.
-ajpprocessor.request.prepare=요청 준비 중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.
+ajpprocessor.request.prepare=요청을 준비하는 중 오류 발생
 ajpprocessor.request.process=요청 처리 중 오류 발생
 
 ajpprotocol.noSSL=AJP와 함께 SSL은 지원되지 않습니다. 
[{0}]을(를) 위한 SSL 호스트 설정은 무시되었습니다.
 ajpprotocol.noUpgrade=AJP에서 프로토콜 업그레이드는 지원되지 
않습니다. [{0}]을(를) 위한 UpgradeProtocol 설정은 무시됩니다.
-ajpprotocol.noUpgradeHandler=AJP를 사용할 때에는 업그레이드가 
지원되지 않습니다. HttpUpgradeHandler [{0}]은(는) 처리될 수 
없습니다.
+ajpprotocol.noUpgradeHandler=AJP를 사용할 때, 업그레이드는 
지원되지 않습니다. HttpUpgradeHandler [{0}]은(는) 처리될 수 
없습니다.

Modified: tomcat/trunk/java/org/apache/coyote/http11/LocalStrings_ko.properties
URL: 
http://svn.apache.org/viewvc/tomcat/trunk/java/org/apache/coyote/http11/LocalStrings_ko.properties?rev=1850332&r1=1850331&r2=1850332&view=diff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--- tomcat/trunk/java/org/apache/coyote/http11/LocalStrings_ko.properties 
(original)
+++ tomcat/trunk/java/org/apache/coyote/http11/LocalStrings_ko.properties Fri 
Jan  4 08:58:36 2019
@@ -13,41 +13,41 @@
 # See the License for the specific language governing permissions and
 # limitations under the License.
 
-abstractHttp11Protocol.alpnConfigured=해당 [{0}] connector는 ALPN을 통해 
negotiated 프로토콜 [{1}]을(를) 지원하도록 설정되었습니다.
-abstractHttp11Protocol.alpnWithNoAlpn=[{1}]을(를) 위한 업그레이드 
핸들러 [{0}]은(는) 오직 ALPN을 통한 업그레이드만 
지원합니다만, 해당 업그레이드 핸들러가 ALPN을 지원하지 
않는 [{2}] connector를 위해 설정되어 있습니다.
-abstractHttp11Protocol.httpUpgradeConfigured=[{0}] connector가 [{1}](으)로 
HTTP 업그레이드를 지원하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.
+abstractHttp11Protocol.alpnConfigured=[{0}] connector는 ALPN을 통해 
[{1}](으)로 negotiation을 지원하도록 설정되었습니다.
+abstractHttp11Protocol.alpnWithNoAlpn=[{1}]을(를) 위한 업그레이드 
핸들러 [{0}]은(는) 오직 ALPN을 통한 업그레이드만 
지원합니다만, 해당 업그레이드 핸들러가 ALPN을 지원하지 
않는 [{2}] Connector를 위해 설정되어 있습니다.
+abstractHttp11Protocol.httpUpgradeConfigured=[{0}] connector가, [{1}](으)로 
HTTP 업그레이드를 지원하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.
 
 http11processor.fallToDebug=\n\
-비고: 더 발생하는 HTTP 요청 파싱 오류들은 DEBUG 레벨의 
로그로 남을 것입니다.
+비고: HTTP 요청 파싱 오류들이 더 발생하는 경우 DEBUG 레벨 
로그로 기록될 것입니다.
 http11processor.header.parse=HTTP 요청 헤더를 파싱하는 중 오류 
발생
-http11processor.neverused=이 메소드는 절대로 사용해서는 
안됩니다.
+http11processor.neverused=이 메소드는 절대 사용되서는 안됩니다.
 http11processor.request.finish=요청을 완료하는 중 오류 발생
-http11processor.request.inconsistentHosts=해당 요청 행에 지정된 
호스트는 호스트 헤더와 일관되지 않습니다.
-http11processor.request.invalidScheme=해당 HTTP 요청은 유효하지 
않은 스킴을 가진 절대 URI를 포함하고 있습니다.
-http11processor.request.invalidUri==HTTP 요청이 유효하지 않은 URI를 
포함하고 있습니다.
-http11processor.request.invalidUserInfo=HTTP 요청이 유효하지 않은 
userinfo를 가진 절대 URI를 포함했습니다.
-http11processor.request.multipleHosts=해당 요청이 여러 개의 Host 
헤더들을 포함했습니다.
-http11processor.request.noHostHeader=해당 HTTP/1.1 요청이 호스트 
헤더를 제공하지 않았습니다.
-http11processor.request.prepare=요청을 준비하는 과정 중 오류 발생
-http11processor.request.process=요청을 처리하는 동안 오류가 
발생하였습니다.
+http11processor.request.inconsistentHosts=요청 행(request line)에 지ì 
•된 호스트가, 호스트 헤더와 일관되지 않습니다.
+http11processor.request.invalidScheme=HTTP 요청이 유효하지 않은 
스킴을 가진 절대 URI를 포함했습니다.
+http11processor.request.invalidUri==HTTP 요청이 유효하지 않은 URI를 
포함했습니다.
+http11processor.request.invalidUserInfo=HTTP 요청이, 유효하지 않은 
userinfo를 가진 절대 URI를 포함했습니다.
+http11processor.request.multipleHosts=요청이 여러 개의 호스트 
헤더들을 포함했습니다.
+http11processor.request.noHostHeader=HTTP/1.1 요청이 호스트 헤더를 ì 
œê³µí•˜ì§€ 않았습니다.
+http11processor.request.prepare=요청을 준비하는 중 오류 발생
+http11processor.request.process=요청 처리 중 오류 발생
 http11processor.response.finish=응답을 완료하는 중 오류 발생
-http11processor.sendfile.error=sendfile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 중 
오류 발생. start/end 지점들을 위한 요청 속성들이 유효하지 
않아 발생했을 수 있습니다.
-http11processor.socket.info=소켓에 대한 정보를 구하는 과정에서 
예외가 발생하였습니다.
+http11processor.sendfile.error=sendfile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보내는 
중 오류 발생. 시작 지점과 종료 지점을 위한 요청 속성들이 
유효하지 않아 발생했을 수 있습니다.
+http11processor.socket.info=소켓에 대한 정보를 얻는 중 예외 발생
 
-iib.available.readFail=데이터가 가용한지 결정하려 시도하는 
동안 non-blocking 읽기가 실패했습니다.
-iib.eof.error=소켓으로부터 예기치 않은 EOF를 읽었습니다.
-iib.failedread.apr=APR/native 오류 코드 [{0}]와(과) 함께 읽기가 
실패했습니다.
-iib.filter.npe=널 필터를 추가해서는 안됩니다.
+iib.available.readFail=데이터가 가용한지 결정하려 시도하는 
동안, non-blocking 읽기가 실패했습니다.
+iib.eof.error=소켓에서 예기치 않은 EOF를 읽었습니다.
+iib.failedread.apr=APR/native 오류 코드 [{0}]와(과) 함께, 읽기가 
실패했습니다.
+iib.filter.npe=널인 필터를 추가할 수 없습니다.
 iib.invalidHttpProtocol=HTTP 프로토콜에서 유효하지 않은 문자가 
발견되었습니다.
-iib.invalidRequestTarget=해당 request target에서 유효하지 않은 
문자가 발견되었습니다. 유효한 문자들은 RFC 7230과 RFC 3986에 
정의되어 있습니다.
-iib.invalidheader=HTTP 헤더 행 [{0}]은(는) RFC 7230을 준수하지 
않아 무시되었습니다.
+iib.invalidRequestTarget=요청 타겟에서 유효하지 않은 문자가 
발견되었습니다. 유효한 문자들은 RFC 7230ê³¼ RFC 3986에 ì 
•의되어 있습니다.
+iib.invalidheader=HTTP 헤더 행 [{0}]이(가) RFC 7230을 준수하지 
않아, 무시되었습니다.
 iib.invalidmethod=메소드 이름에 유효하지 않은 문자가 
발견되었습니다. HTTP 메소드 이름은 유효한 토큰이어야 
합니다.
-iib.parseheaders.ise.error=예기치 않은 상태: 헤더들이 이미 
파싱되었습니다. 버퍼가 참조 해제되지 않았을까요?
+iib.parseheaders.ise.error=예기치 않은 상태: 헤더들이 이미 
파싱되었습니다. 버퍼가 참조 해제되지 않았었나요?
 iib.readtimeout=소켓으로부터 데이터를 읽으려 시도하는 중 ì 
œí•œ 시간 초과
 iib.requestheadertoolarge.error=요청 헤더가 너무 큽니다.
-iib.socketClosed=소켓이 다른 쓰레드에서 닫혔습니다.
+iib.socketClosed=소켓이 다른 쓰레드에서 이미 닫혔습니다.
 
 iob.failedwrite=쓰기 실패
-iob.failedwrite.ack=HTTP 100 continue 응답 전송 실패
-iob.illegalreset=응답이 이미 커밋되었기 때문에 리셋이 
허용되지 않습니다.
-iob.responseheadertoolarge.error=응답 헤더들에 가용한 버퍼 
공간을 초과하는 데이터를 쓰려는 시도가 발생했습니다. 
해당 Connector의 maxHttpHeaderSize를 증가시키거나 응답 헤더들에 
보다 적은 데이터를 쓰도록 하십시오.
+iob.failedwrite.ack=HTTP 100 continue 응답을 보내지 못했습니다.
+iob.illegalreset=응답이 한번 커밋되면, 응답에 대한 재설ì 
•(reset)은 허용되지 않습니다.
+iob.responseheadertoolarge.error=응답 헤더들에 가용한 버퍼 
공간을 초과하는 데이터를 쓰려는 시도가 발생했습니다. 
해당 Connector의 maxHttpHeaderSize를 증가시키거나, 응답 
헤더들에 보다 적은 데이터를 쓰도록 하십시오.

Modified: 
tomcat/trunk/java/org/apache/coyote/http11/filters/LocalStrings_ko.properties
URL: 
http://svn.apache.org/viewvc/tomcat/trunk/java/org/apache/coyote/http11/filters/LocalStrings_ko.properties?rev=1850332&r1=1850331&r2=1850332&view=diff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--- 
tomcat/trunk/java/org/apache/coyote/http11/filters/LocalStrings_ko.properties 
(original)
+++ 
tomcat/trunk/java/org/apache/coyote/http11/filters/LocalStrings_ko.properties 
Fri Jan  4 08:58:36 2019
@@ -14,14 +14,14 @@
 # limitations under the License.
 
 chunkedInputFilter.eos=요청의 body를 읽는 동안 예기치 않은 
스트림의 끝
-chunkedInputFilter.eosTrailer=Trailer 헤더들을 읽는 과정에서 
예기치 않은 스트림의 끝입니다.
+chunkedInputFilter.eosTrailer=Trailer 헤더들을 읽는 중 예기치 않은 
스트림의 끝
 chunkedInputFilter.error=이전 오류로 인하여 데이터가 가용하지 
않습니다.
-chunkedInputFilter.invalidCrlf=행 시퀀스의 유효하지 않은 끝 (CR 
또는 LF가 아닌 다른 문자가 발견됨)
+chunkedInputFilter.invalidCrlf=유효하지 않은 행의 끝 시퀀스입
니다. (CR 또는 LF가 아닌 다른 문자가 발견됨)
 chunkedInputFilter.invalidCrlfCRCR=유효하지 않은 행의 끝 시퀀스 
(CRCR)
-chunkedInputFilter.invalidCrlfNoCR=유효하지 않은 라인입니다. (즉 
CR 바이트가 LF 바이트 전에 존재하지 않습니다.)
-chunkedInputFilter.invalidCrlfNoData=유효하지 않은 행의 끝 
시퀀스입니다. (더 이상 읽을 수 있는 데이터가 없습니다.)
+chunkedInputFilter.invalidCrlfNoCR=유효하지 않은 라인 끝 시퀀스 
(CR 바이트가 LF 바이트 전에 존재하지 않음)
+chunkedInputFilter.invalidCrlfNoData=유효하지 않은 행의 끝 시퀀스 
(더 이상 읽을 데이터가 없음)
 chunkedInputFilter.invalidHeader=유효하지 않은 chunk 헤더
-chunkedInputFilter.maxExtension=maxExtensionSize을 초과했습니다.
+chunkedInputFilter.maxExtension=maxExtensionSize 값을 초과했습니다.
 chunkedInputFilter.maxTrailer=maxTrailerSize 값을 초과했습니다.
 
 inputFilter.maxSwallow=maxSwallowSize 값을 초과했습니다.

Modified: 
tomcat/trunk/java/org/apache/coyote/http11/upgrade/LocalStrings_ko.properties
URL: 
http://svn.apache.org/viewvc/tomcat/trunk/java/org/apache/coyote/http11/upgrade/LocalStrings_ko.properties?rev=1850332&r1=1850331&r2=1850332&view=diff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--- 
tomcat/trunk/java/org/apache/coyote/http11/upgrade/LocalStrings_ko.properties 
(original)
+++ 
tomcat/trunk/java/org/apache/coyote/http11/upgrade/LocalStrings_ko.properties 
Fri Jan  4 08:58:36 2019
@@ -13,24 +13,24 @@
 # See the License for the specific language governing permissions and
 # limitations under the License.
 
-upgrade.sis.errorCloseFail=이전 오류 발생 이후 InputStream을 
깨끗하게 닫지 못했습니다.
-upgrade.sis.isFinished.ise=ServletInputStream이 non-blocking 모드가 아닌 
상태에서 isFinished()를 호출하는 것은 불허됩니다. (즉, 
setReadListener()가 먼저 호출되어야만 합니다.)
-upgrade.sis.isReady.ise=ServletInputStream이 non-blocking 모드가 아닐 
때에는 isReady()를 호출하는 것은 불허됩니다. (즉 
setReadListener()가 반드시 먼저 호출되어야 합니다.)
+upgrade.sis.errorCloseFail=이전 오류 발생 이후, InputStream을 
깨끗하게 닫지 못했습니다.
+upgrade.sis.isFinished.ise=ServletInputStream이 non-blocking 모드 안에 
있지 않을 때, isFinished()를 호출하는 것은 불허됩니다. (즉, 
setReadListener()가 먼저 호출되어야만 합니다.)
+upgrade.sis.isReady.ise=ServletInputStream이 non-blocking 모드 안에 
있지 않을 때, isReady()를 호출하는 것은 불허됩니다. (즉 
setReadListener()가 반드시 먼저 호출되어야 합니다.)
 upgrade.sis.onErrorFail=등록된 ReadListener를 위한 onError 처리가 
더많은 오류를 유발시켰습니다. 이 추가 오류는 별도로 
표출되지 않습니다.
-upgrade.sis.read.closed=해당 InputStream은 이미 닫혀 있습니다.
-upgrade.sis.read.ise=Non-blocking 모드에서, 먼저 isReady()를 
호출하여 가용한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점검하지 않고, 
어떤 read() 메소드라도 호출하는 것은 불허됩니다.
+upgrade.sis.read.closed=InputStream은 이미 닫혀 있습니다.
+upgrade.sis.read.ise=Non-blocking 모드에서는, 먼저 isReady()를 
호출하여 가용한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점검하지 않은 
상태에서, 어떤 종류의 read() 메소드라도 호출하는 것은 
불허됩니다.
 upgrade.sis.readListener.null=setReadListener()에 널을 넘기는 것은 
불허됩니다.
-upgrade.sis.readListener.set=업그레이드 된 동일한 연결에 
setReadListener()를 두 번 이상 호출할 수 없습니다.
-upgrade.sos.canWrite.ise=ServletOutputStream이 non-blocking 모드에 있지 
않을 때 canWrite()를 호출하는 것은 불허됩니다. (즉 
setWriteListener()가 반드시 먼저 호출되어야 합니다.)
-upgrade.sos.errorCloseFail=이전 오류 발생 이후 OutputStream을 
깨끗하게 닫지 못했습니다.
-upgrade.sos.onErrorFail=등록된 WriteListener를 위한 onError 처리가 
더많은 오류를 유발시켰습니다. 이 추가 오류는 별도로 
표출되지 않습니다.
-upgrade.sos.write.closed=해당 OutputStream은 이미 닫혀 있습니다.
-upgrade.sos.write.ise=non-blocking 모드에서, 먼저 isReady()를 
호출하여 공간이 남아있는지 점검하지 않고, 어떤 종류의 
write() 메소드를 호출하는 것은 불허됩니다.
-upgrade.sos.writeListener.null=setWriteListener() 호출 시 널을 넘기는 
것은 허용되지 않습니다.
-upgrade.sos.writeListener.set=동일 업그레이드된 연결에 대하여 
setWriteListener()를 두번 이상 호출하는 것은 불허됩니다.
+upgrade.sis.readListener.set=업그레이드된 동일한 연결을 위해, 
setReadListener()를 두 번 이상 호출하는 것은 불허됩니다.
+upgrade.sos.canWrite.ise=ServletOutputStream이 non-blocking 모드 안에 
있지 않을 때, canWrite()를 호출하는 것은 불허됩니다. (즉 
setWriteListener()가 반드시 먼저 호출되어야 합니다.)
+upgrade.sos.errorCloseFail=이전 오류 발생 이후, OutputStream을 
깨끗하게 닫지 못했습니다.
+upgrade.sos.onErrorFail=등록된 WriteListener를 위한 onError 처리가 
이 오류를 더 유발시켰습니다. 이 추가 오류는 별도로 
표출되지 않습니다.
+upgrade.sos.write.closed=OutputStream이 이미 닫혀 있습니다.
+upgrade.sos.write.ise=Non-blocking 모드에서는, 먼저 isReady()를 
호출하여 공간이 남아있는지 점검하지 않고, 어떤 종류의 
write() 메소드들을 호출하는 것은 불허됩니다.
+upgrade.sos.writeListener.null=setWriteListener() 호출 시, 널을 넘기는 
것은 불허됩니다.
+upgrade.sos.writeListener.set=동일한 업그레이드된 연결에 
대하여, setWriteListener()를 두번 이상 호출하는 것은 
불허됩니다.
 
 upgradeProcessor.isCloseFail=업그레이드된 연결과 연관된 입력 
스트림을 닫지 못했습니다.
 upgradeProcessor.osCloseFail=업그레이드된 연결과 연관된 출력 
스트림을 닫지 못했습니다.
-upgradeProcessor.requiredClose=스트림들의 closeRequired 상태로 
인하여 업그레이드된 연결을 닫습니다: 입력 [{0}], 출력 [{1}]
-upgradeProcessor.stop=Incoming 소켓의 상태가 STOP임에 따라 업그ë 
ˆì´ë“œëœ 연결을 닫습니다.
+upgradeProcessor.requiredClose=스트림들의 closeRequired 상태로 
인하여, 업그레이드된 연결을 닫습니다: 입력 [{0}], 출력 [{1}]
+upgradeProcessor.stop=Incoming 소켓의 상태가 STOP임에 따라, 업그ë 
ˆì´ë“œëœ 연결을 닫습니다.
 upgradeProcessor.unexpectedState=Incoming 소켓의 상태가 
[{0}](이)라서, 업그레이드된 연결을 예기치 않게 종료합니다.
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To unsubscribe, e-mail: dev-unsubscr...@tomcat.apache.org
For additional commands, e-mail: dev-h...@tomcat.apache.org

Reply via email to